괜한 삽질을 했네요
알리에서 주문한 썬더볼트3 케이블이 도착했습니다.
기존 번들선과 비교해도 두께가 어마어마합니다.
그래 이정도면 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 같아!!
바로 벤치를 돌려봤습니다.
???
???
???
이 결과는 뭐죠?
번들선이랑 속도가 똑같네요 ㅡㅡ;;
이전테스트 결과
2023.01.08 - [기기/컴퓨터_노트북] - 알리발 네탁 netac m.2 ssd & 오리코 orico m.2 ssd 케이스 장착기
알리발 네탁 netac m.2 ssd & 오리코 orico m.2 ssd 케이스 장착기
이제 10GB 파일 전송도 2초도 안걸리는 시대군요 블랙프라이데이때 알리를 기웃거리다 보니 저도 모르게 2TB ssd를 구매하고 있었습니다. 13만원 조금 안되게 구입. 약 3년 전에 512GB m2 ssd를 12만원에
kkangfam.tistory.com
혹시해서 한 번 더 돌려봤는데 결과는 비슷합니다.
음 이상하네
이번에는 맥에서 돌려보았습니다.
맥에서는 blackmagic disk speed test를 이용하면 속도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옵니다
가운데 설정(톱니바퀴) 메뉴를 눌러서 타켓을 설정해주고
스트레스는 1gb로 설정해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먼저 번들케이블로 테스트한 결과입니다.
윈도우보다 2배 정도 빠르게 나왔습니다. (b450m 보드)
안 끝나는 것 같길래 중간에 임의로 멈췄습니다
이번에 새로 산 썬더볼트 케이블
번들선보다는 속도가 아주 약간 빠른데 20Gbps 지원하는 선인데 왜이렇게 느리지하고 생각해보니
단위를 착각했던것이였습니다.....
Gb가 기가바이트가 아니고 기가비트였던 것.....
1Gbps는 대략 125MB/s
윈도우 컴퓨터에서 연결한 usb는 usb 3.1 gen1로 5Gbps의 속도를 지원합니다.
그러면 125 X 5 = 약 625MB/s 차이가 많이 나긴하지만 440의 속도가 수긍이 가는 부분입니다.
맥북은 선더볼트4 그리고 연결한 케이블은 선더볼트3이지만
외장nvme case가 최대 10Gbps 밖에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125 X 10 = 약 1250MB/s가 나와야하고 테스트 결과는 약 900MB/s 이 또한 이제야 이해가 가는 부분입니다.
단위 실수로 돌고 돌긴했지만 이젠 속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고 생각했던게 정리가 되었네요..
단위 변환해주는 사이트도 발견했는데 저 같이 이상하다 싶으신 분들은 아래 사이트에서 계산하시면 편할 것 같아요
https://www.gbmb.org/gbps-to-mbs
Gbps to MB/s Converter (Gigabit per second to Megabyte per second)
Jon Disnard 2020-02-21 08:01:08 Please know that telecom equipment is measured in SI units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SystemofUnitsPrefixes. Which potentially probably means these calculations are either incorrect, or ambiguous. For example conv
www.gbmb.org
이렇게 생각하니 nvme를 외장하드로 쓰기는 아깝네요..
데탑에 물려서 사용하고 외장케이스에는 저렴이를 끼우던지 해야겠네요....
다시 퀘사이존 핫딜 게시판으로...
'기기 > 컴퓨터_노트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갈이 및 수랭 & 시스템 쿨러 교체 준비 - (sp7, 리안리 sl120 유니팬, 3RSYS Socoool 라니 XY 360) (0) | 2023.03.06 |
---|---|
다크플래쉬 darkflash dx-360 수냉 수랭쿨러 리뷰 (0) | 2023.03.02 |
유니팬 SL120의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0) | 2023.02.05 |
라이젠 3600과 5800x은 얼마나 차이 날까? 3dmark 시네벤치 벤치놀이 온도 (성능 비교) (1) | 2023.01.22 |
ASUS TUF B450M-pro gaming stcom as 후기 (0) | 2023.01.18 |
댓글